하나님의 뜻대로 하는 자(마가복음 3:31-35)
31. 때에 예수의 모친과 동생들이 와서 밖에 서서 사람을 보내어 예수를 부르니
32. 무리가 예수를 둘러 앉았다가 여짜오되 보소서 당신의 모친과 동생들과 누이들이 밖에서 찾나이다
33. 대답하시되 누가 내 모친이며 동생들이냐 하시고
34. 둘러 앉은 자들을 둘러 보시며 가라사대 내 모친과 내 동생들을 보라
35. 누구든지 하나님의 뜻대로 하는 자는 내 형제요 자매요 모친이니라.
성경을 읽을 때 어느 제한된 부분만 갖고 이해하는 것은 성경의 의도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전체 문맥에서 무엇을 말씀하시는지를 살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오늘의 본문은 예수님의 어머니와 동생들이 찾아와서 사람을 보내어 예수님을 찾았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어머니와 동생들이 밖에서 찾는다는 이야기를 듣고서도 "누가 내 모친이며 동생들이냐?"
둘러 앉는 사람들을 보시며 "내 모친과 내 동생들을 보라. 누구든지 하나님의 뜻대로 하는 자는 내 형제요 자매요 모친"이라고 하셨습니다.
이 말씀만을 선택하여 이해한다면 분명히 예수님의 가르침은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마가복음 3장이란 전제 문맥에서 살펴야 합니다.
마가복음 3장은 "성령을 훼방하는 죄는 용서받을 수 없다"는 맥락에서 이해해야 합니다.
누가 예수님의 가족이냐? 라는 것이 신앙의 본질이 아닙니다.
하나님의 뜻대로 생활하고 신앙하는 것이 신앙의 본질이라고 합니다.
회개의 세례와 요한의 세례 및 예수님의 세례에 대한 주제를 소개하던 중 지난 오바댜서를 읽던 날 "가족을 돌보지 않는 것은 불신자보다 못하다"는 말씀을 듣고 어떤 분이 질문하기를 "성경에는 가족을 떠나라!" 또 어떤 때는 "가족을 돌보라" 라고 하면 어느 말씀을 따라야 하는가? 라는 질문을 받았기에 마가복음 3장의 본문을 선택했습니다.
잠간 본문에서 벗어날 수 있는 주제이지만 성경을 읽는 자세는 같은 맥락이라는 것을 염두에 두고 질문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먼저 성경을 찾아보겠습니다.
디모데전서 5:8
누구든지 자기 친족 특히 자기 가족을 돌아보지 아니하면 믿음을 배반한 자요 불신자보다 더 악한 자니라.
32. 무리가 예수를 둘러 앉았다가 여짜오되 보소서 당신의 모친과 동생들과 누이들이 밖에서 찾나이다
33. 대답하시되 누가 내 모친이며 동생들이냐 하시고
34. 둘러 앉은 자들을 둘러 보시며 가라사대 내 모친과 내 동생들을 보라
35. 누구든지 하나님의 뜻대로 하는 자는 내 형제요 자매요 모친이니라.
성경을 읽을 때 어느 제한된 부분만 갖고 이해하는 것은 성경의 의도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전체 문맥에서 무엇을 말씀하시는지를 살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오늘의 본문은 예수님의 어머니와 동생들이 찾아와서 사람을 보내어 예수님을 찾았습니다.
예수님께서는 어머니와 동생들이 밖에서 찾는다는 이야기를 듣고서도 "누가 내 모친이며 동생들이냐?"
둘러 앉는 사람들을 보시며 "내 모친과 내 동생들을 보라. 누구든지 하나님의 뜻대로 하는 자는 내 형제요 자매요 모친"이라고 하셨습니다.
이 말씀만을 선택하여 이해한다면 분명히 예수님의 가르침은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없습니다.
그렇지만 마가복음 3장이란 전제 문맥에서 살펴야 합니다.
마가복음 3장은 "성령을 훼방하는 죄는 용서받을 수 없다"는 맥락에서 이해해야 합니다.
누가 예수님의 가족이냐? 라는 것이 신앙의 본질이 아닙니다.
하나님의 뜻대로 생활하고 신앙하는 것이 신앙의 본질이라고 합니다.
회개의 세례와 요한의 세례 및 예수님의 세례에 대한 주제를 소개하던 중 지난 오바댜서를 읽던 날 "가족을 돌보지 않는 것은 불신자보다 못하다"는 말씀을 듣고 어떤 분이 질문하기를 "성경에는 가족을 떠나라!" 또 어떤 때는 "가족을 돌보라" 라고 하면 어느 말씀을 따라야 하는가? 라는 질문을 받았기에 마가복음 3장의 본문을 선택했습니다.
잠간 본문에서 벗어날 수 있는 주제이지만 성경을 읽는 자세는 같은 맥락이라는 것을 염두에 두고 질문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먼저 성경을 찾아보겠습니다.
디모데전서 5:8
누구든지 자기 친족 특히 자기 가족을 돌아보지 아니하면 믿음을 배반한 자요 불신자보다 더 악한 자니라.
데살로니가후서 3:6
형제들아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너희를 명하노니 규모 없이 행하고 우리에게 받은 유전대로 행하지 아니하는 모든 형제에게서 떠나라.
형제들아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너희를 명하노니 규모 없이 행하고 우리에게 받은 유전대로 행하지 아니하는 모든 형제에게서 떠나라.
디모데전서는 성경 신학에서 "목회서신" 즉 "디모데전서, 디모데후서, 디도서"를 말합니다.
데살로니가후서는 성경 신학에서 "공동서신" 즉 "히브리서, 베드로전서, 베드로후서, 유다서, 요한일서, 요한이서, 요한삼서, 유다서"를 말합니다.
전체 문맥을 살펴야 할 여유가 없을 때는 성경 신학에서 어느 분류에 해당하는지를 살펴야 하겠습니다.
디모데전서는 목회서신으로 목회 현장에서 자기 친족 또는 가족들 돌보지 않은 교인이 있을 때 어떻게 권면해야 하는가를 교훈하는 말씀입니다.
목회서신 / 목회서신(牧會書信, pastoral epistles) 혹은 사목서신(司牧書信)은 신약성경의 정경 중 디모테오에게 보낸 첫째 편지, 디모테오에게 보낸 둘째 편지, 디도에게 보낸 편지의 세 서신서를 묶어 부르는 말이다. 가끔 여기에 필레몬에게 보낸 편지가 포함되기도 한다. 이 편지들은 공통적으로 교회를 감독하는 일에 대해 전달하고 있다. 목회 지침을 제시했다는 측면에 주목해 파울 안톤Paul Anton이 1926년에 처음 "목회pastoral" 서신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디모데전서 5장은 교회 안에 과부가 된 사람이 있을 때 먼저 그 과부의 가족들과 자녀들이 누구인가를 살펴야 하고 그 가족들에게 권면하는 내용입니다.
데살로니가후서 3장은 공동서신으로 보편적으로 교회에서 또는 신앙생활을 하면서 부딪칠 수 있는 문제라고 하겠습니다.
데살로니가후서는 마지막 시대에 신앙생활을 위한 권면입니다.
공동서신 / 야고보서, 베드로 전.후서, 요한 1,2,3서와 유다서 등 일곱권을 공동서신, 또는 일반서신이라고 부른다.
여기서[공동]이란 말은 "보편적" 또는 "일반적"이란 뜻이다.
즉 어떤 특정한 교회나 개인을 상대로 기록한 서신이 아니라 교회 일반에 보내어진 서신이다.
이 말은 바울 서신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 말이다.
만일 가족들 중에 믿음은 모든 사람의 것이 아니므로 믿음을 지키려면 믿음에 동의하지 않는 가족들을 떠나야 한다는 교훈입니다.
비슷한 예를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에게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하나님을 아브라함에게 네 고향 친척 아비 집을 떠나 하나님이 지시하는 곳으로 가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고향과 일가친척을 떠나는 이유는 믿음을 굳게 하려는 것입니다.
믿음이 성숙한 후에는 믿음이 없는 가족들을 신앙적으로 보살펴서 믿음의 울타리 안으로 들어오도록 본을 보이고 가르치며 권명해야 할 것입니다.
데살로니가후서는 성경 신학에서 "공동서신" 즉 "히브리서, 베드로전서, 베드로후서, 유다서, 요한일서, 요한이서, 요한삼서, 유다서"를 말합니다.
전체 문맥을 살펴야 할 여유가 없을 때는 성경 신학에서 어느 분류에 해당하는지를 살펴야 하겠습니다.
디모데전서는 목회서신으로 목회 현장에서 자기 친족 또는 가족들 돌보지 않은 교인이 있을 때 어떻게 권면해야 하는가를 교훈하는 말씀입니다.
목회서신 / 목회서신(牧會書信, pastoral epistles) 혹은 사목서신(司牧書信)은 신약성경의 정경 중 디모테오에게 보낸 첫째 편지, 디모테오에게 보낸 둘째 편지, 디도에게 보낸 편지의 세 서신서를 묶어 부르는 말이다. 가끔 여기에 필레몬에게 보낸 편지가 포함되기도 한다. 이 편지들은 공통적으로 교회를 감독하는 일에 대해 전달하고 있다. 목회 지침을 제시했다는 측면에 주목해 파울 안톤Paul Anton이 1926년에 처음 "목회pastoral" 서신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디모데전서 5장은 교회 안에 과부가 된 사람이 있을 때 먼저 그 과부의 가족들과 자녀들이 누구인가를 살펴야 하고 그 가족들에게 권면하는 내용입니다.
데살로니가후서 3장은 공동서신으로 보편적으로 교회에서 또는 신앙생활을 하면서 부딪칠 수 있는 문제라고 하겠습니다.
데살로니가후서는 마지막 시대에 신앙생활을 위한 권면입니다.
공동서신 / 야고보서, 베드로 전.후서, 요한 1,2,3서와 유다서 등 일곱권을 공동서신, 또는 일반서신이라고 부른다.
여기서[공동]이란 말은 "보편적" 또는 "일반적"이란 뜻이다.
즉 어떤 특정한 교회나 개인을 상대로 기록한 서신이 아니라 교회 일반에 보내어진 서신이다.
이 말은 바울 서신과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된 말이다.
만일 가족들 중에 믿음은 모든 사람의 것이 아니므로 믿음을 지키려면 믿음에 동의하지 않는 가족들을 떠나야 한다는 교훈입니다.
비슷한 예를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에게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하나님을 아브라함에게 네 고향 친척 아비 집을 떠나 하나님이 지시하는 곳으로 가라고 말씀하셨습니다.
고향과 일가친척을 떠나는 이유는 믿음을 굳게 하려는 것입니다.
믿음이 성숙한 후에는 믿음이 없는 가족들을 신앙적으로 보살펴서 믿음의 울타리 안으로 들어오도록 본을 보이고 가르치며 권명해야 할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누가 내 모친이며 내 형제들이냐 라고 대답하신 것은 지금 밖에서 예수님을 찾는 모친과 동생들을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예수님께서 행하셨던 사역을 마치 귀신의 힘을 얻어 행하는 것이라고 비난하며 고소하려는 사람들에게 믿음은 무엇이며, 메시아가 누구인가를 분명하게 가르치는 말씀이라고 하겠습니다.
본문과 유사한 말씀은 마태복음 12:46-50, 누가복음 8:19-21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마태복음 12:49-50
손을 내밀어 제자들을 가리켜 가라사대 나의 모친과 나의 동생들을 보라.
누구든지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대로 하는 자가 내 형제요 자매요 모친이니라 하시더라 .
누가복음 8:21
예수께서 대답하여 가라사대 내 모친과 내 동생들은 곧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행하는 이 사람들이라 하시니라.
실험실에서 성분을 알 수 없는 용액이 있을 때 이 용액의 성분을 알 수 있는 방법은 "리트머스 시험지"를 사용합니다.
로버트 보일(1627-1691)
리트머스 시험지를 용액에 담갔을 때 시험지의 색갈이 파랑으로 변하면 그 용액의 성분을 알카리성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리트머스 시험지를 용액에 담갔을 때 시험지의 색갈이 빨강으로 변하면 그 용액의 성분을 산성이라고 합니다.
성경을 읽을 때 하나님의 뜻이 무엇인지 이해하기 어려울 때 리트머스 시험지와 같은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데살로니가전서 5:16-18
J P T 시험지를 사용하라!
항상 기뻐하라(JOY)
쉬지 말고 기도하라(PRAYER)
범사에 감사하라(THANKS)
좀 더 구체적인 뜻을 알고자 할 때는 세 단계를 살펴야 합니다.
하나님의 의도하신 뜻
하나님의 환경적인 뜻
하나님의 절대적인 뜻
마가복음 3:1-36
3:1-6. 안식일에 손 마른 사람을 치유
3:7-12. 많은 사람들, 더러운 귀신을 내 쫓으심
3:13-19. 열 두 제자를 선택
3:20-30. 예수가 미쳤다(성령 훼방 죄)
3:31-35. 하나님의 뜻대로 행하는 사람
마태복음 12:49-50
손을 내밀어 제자들을 가리켜 가라사대 나의 모친과 나의 동생들을 보라.
누구든지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대로 하는 자가 내 형제요 자매요 모친이니라 하시더라 .
누가복음 8:21
예수께서 대답하여 가라사대 내 모친과 내 동생들은 곧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행하는 이 사람들이라 하시니라.
실험실에서 성분을 알 수 없는 용액이 있을 때 이 용액의 성분을 알 수 있는 방법은 "리트머스 시험지"를 사용합니다.
로버트 보일(1627-1691)
리트머스 시험지를 용액에 담갔을 때 시험지의 색갈이 파랑으로 변하면 그 용액의 성분을 알카리성이라고 합니다.
반대로 리트머스 시험지를 용액에 담갔을 때 시험지의 색갈이 빨강으로 변하면 그 용액의 성분을 산성이라고 합니다.
성경을 읽을 때 하나님의 뜻이 무엇인지 이해하기 어려울 때 리트머스 시험지와 같은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데살로니가전서 5:16-18
J P T 시험지를 사용하라!
항상 기뻐하라(JOY)
쉬지 말고 기도하라(PRAYER)
범사에 감사하라(THANKS)
좀 더 구체적인 뜻을 알고자 할 때는 세 단계를 살펴야 합니다.
하나님의 의도하신 뜻
하나님의 환경적인 뜻
하나님의 절대적인 뜻
마가복음 3:1-36
3:1-6. 안식일에 손 마른 사람을 치유
3:7-12. 많은 사람들, 더러운 귀신을 내 쫓으심
3:13-19. 열 두 제자를 선택
3:20-30. 예수가 미쳤다(성령 훼방 죄)
3:31-35. 하나님의 뜻대로 행하는 사람
|